고기능 무인항공기 산업생태계 양성, 경제 가치 입증할 드론 시범사업 필요 
OSEN 강희수 기자
발행 2018.06.22 11: 18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회장 조문수)가 고기능 무인항공기 산업생태계 양성을 위해서는 '무인기 기술 표준화와 인증체계 구축' '신기술에 대한 정부 구매력 활용' '경제적 가치 입증을 위한 시범사업 실시' '민군 기술융합 활성화' '작은 단위의 실용기술개발 집중'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국드론산업진흥협회는 22일 공개 된, 산업용 무인비행장치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위한 ‘고기능 무인항공기 산업생태계 구축방안’ 보고서에서 “무인기 기술 표준화와 인증체계를 구축해 작은 단위의 아이디어 구현의 입증이나 인증을 포함하는 실용기술개발에 집중해야 시장의 역동성을 회복할 수 있고 특히 남북한 협력시대를 대비해 북한의 국토인프라 확충사업과 전부 국유지로 구성된 북한의 농업에 드론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관련 시범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술의 상향평준화를 위한 기술표준화는 기업의 수준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넘어야 하는 벽이 아니고 국제경쟁력을 갖기 위해 도달해야 하는 기술목표로 작용한다. 그 결과 KS 표준 무인항공기는 안전성이 확보되므로 국제 사회에서 신뢰할 수 있다는 브랜드 가치를 만드는 것을 정책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농업분야의 경우 생산을 비롯해 식품의 냉동저장, 물류 등 공급사슬(supply chain)에 이르기까지 수급 데이터에 따라 관리하는 시범사업이 필요하다. 농업에서도 4차 산업혁명의 효율성을 취함으로써 국가 산업에서 짐으로 인식되고 있는 한국의 농업에서 벗어나 세계 농업식품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능력을 미리 확보해야 한다. 특히 남북한 협력시대를 대비해 전부 국유지로 구성된 북한의 농업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세계 노지농업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드론산업 유관공공기관(189개), 청급 공공기관(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17개)를 대상으로 드론활용에 대한 관심도, 드론보유 및 운용실태, 드론수용 및 활용전망, 정부 지원 요청사항 등을 설문조사한 결과도 국내 여건의 열악한 현실을 수치로 보여주고 있다. 드론의 생산국은 ‘중국’이 대다수를 차지한 반면, 국산 모델 보유는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의 ‘드론활용 서비스’ 이용의향이 있는 기관은 전체의 30%이며, 이용예상 시기는 ‘2년 이내’가 가장 많고, 활용 예상 분야는 ‘항공촬영’, ‘방제 및 안전’, 그리고 ‘농업’이 높게 나타나 국내산 드론보급도 시급한 것으로 확인 됐다. /100c@osen.co.kr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