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h!커피 한 잔①] '남한산성' 박해일 "김윤석에 이병헌, 나만 잘하면 되겠단 생각"
OSEN 김보라 기자
발행 2017.10.04 14: 00

배우 박해일은 단 하나의 색깔로 분류할 수 없을 만큼 연기 스펙트럼 폭이 넓다. 첫사랑의 얼굴부터 잠들어 있던 욕망에 흔들리는 인물까지 모두가 박해일의 얼굴이다.
영화 ‘국화꽃 향기’에서 ‘은교’까지 극단을 오가는 알 수 없는 눈빛과 표정, 그리고 천진난만한 미소. 박해일의 얼굴은 어딘지 알 수 없는 매력으로 가득 찼다. 프레임에 담긴 이 배우의 얼굴에 도대체 몇 개의 캐릭터가 숨어있는 걸까.
박해일이 정통 사극 영화 ‘남한산성’(감독 황동혁)을 통해 1년 2개월 만에 스크린에 복귀했다. 데뷔 후 처음으로 조선의 왕 인조 역을 맡았다고 하는데 어색함은 느낄 수 없었다.

‘남한산성’은 김훈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영화로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속에서 조선의 운명이 걸린 47일간의 이야기를 그렸다. 청의 제안에 화친과 척화로 나뉘어 첨예하게 맞서는 충신 최명길(이병헌 분)과 김상헌(김윤석 분)의 물러섬 없는 팽팽한 설전을 보는 재미가 있다.
두 신하 사이에서 고뇌하는 인조를 연기한 박해일은 최근 서울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진행된 OSEN과의 인터뷰에서 “감독님이 처음에는 두 가지 역할을 제안하시긴 했지만 나중에는 최종적으로 인조를 맡아달라고 하셨다. 제가 당시 (다른 작품의)촬영 중이었는데 시나리오를 읽어보니 굉장히 훌륭했기 때문에 출연하지 않겠다고 거절할 수 이유가 없었다”며 “처음에는 이 작품에 참여하는 제가 부족하다는 마음뿐이었는데 감독님이 박해일이 인조를 해야 하는 이유부터 지금 이 작품을 만든 계기까지 설명하시면서 저도 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고 했다.
박해일이 ‘남한산성’에 출연한 이유는 원작의 무게감에 황동혁 감독의 연출력, 연기력을 갖춘 탄탄한 배우들이 다음에도 한 데 모이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 “요즘 같은 시대에 정통 사극을 만들기란 쉽지 않다. 김윤석 선배에, 이병헌 선배는 말할 것도 없고 제가 하게 된다면 나만 잘하면 되겠다는 생각이었다”고 설명했다.
“출연할 가치가 있는 영화다. ‘남한산성’에서 인조가 주는 기운은 관객들에게도 여러 가지로 생각해볼 거리를 만든다고 본다. 인조가 두 신하를 바라보는 방향이 관객의 입장이기도 하다. 최명길-인조-김상헌이 삼각 구도를 만들어서 다른 신하들의 감정을 건드리고, (관객을) 끌어오게 만드는 역할을 해야 했다. 그런 지점에서 인조는 매력적인 캐릭터다.”
박해일은 조선의 명운이 걸린 상황에서 인조가 느꼈을 고통과 참담함을 깊이 있는 연기력으로 표현했다. 그의 연기 덕분에 ‘결정 장애’에 걸린 인조의 우유부단함과 의지박약이 좀 더 도르라졌다.
‘남한산성’은 소설과 마찬가지로 나라와 백성을 위하는 충심은 같으나 화친과 척화로 나뉜 두 신하 김상헌(김윤석 분), 최명길(이병헌 분)을 축으로 한 조정의 모습을 한층 드라마틱하게 완성했다. 광해군의 중립정책을 지양하고 친명배금 정책을 쓴 인조도 그대로 살렸다.
“배우들이 같은 작품에서 만난 적이 없었다. 저도 그랬지만 다른 배우들도 서로의 연기 스타일이 궁금했을 거 같다. 한 작품에서 한 번에 만나기 쉽지 않은 기회이지 않나. 보고 느끼고 배운 것이 정말 많았다. 다음 작품에서 이번에 배운 것들을 저만의 스타일로 녹여내고 싶다.”(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purplish@osen.co.kr
[사진] 최규한 기자 dreamer@osen.co.kr

Copyright ⓒ OSEN.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